GNB 메뉴 퀵 메뉴

온라인 강의체험

GCU 강의체험입니다.

실제 강의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학부 테이블

학부, 과목명, 담당교수로 구성

학부 과목명 담당교수
사회복지학부 사회복지학개론 오화영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사회 복지학 개론 7주부터 여러분들과 함께 공부할 저는 사회복지학부장오하영 교수입니다. 여러분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앞에서 이미, 사회복지학개론 수업은 사회복지학부의 이종현교수님과 제가 팀티칭으로 수업을 진행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안내를 드렸었지요.

앞에 수업은 교수님께서 진행을 하셨고, 7주부터 14주까지 뒷 부분 수업은 저와 함께공부를 아주 즐겁고 재미있게 진행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7주인 이번 주차에서 다룰 주제는 사회복지실천과 사회복지실천기술에 대한 내용인데요,이미 앞에서 사회복지와 관련된 기본적인 내용들을 배우셨을 겁니다.

자 그러면, 이번 주차부터는 조금 더 세부적이고 전문적인 내용을 여러분들에게 소개를 해 드릴까 하는데, 그 첫 시간으로 ‘사회복지실천과 실천기술’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함께 수업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복지실천과 실천 기술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이냐?'에 대해서 여러분들에게 먼저 좀 소개를 해 드리고요

사회복지실천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갖는 목적, 또 사회복지에서 갖는 중요성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 목적과 중요성들을 여러분들에게 얘기를 해 드리고,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실천현장과 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해야 하는 역할이 굉장히 다양한 전문성을 갖춘 역할인데, 그 역할들에 대해서도 여러분들에게 소개를 해 드리겠습니다.

 
사회복지학부 테이블

학부, 과목명, 담당교수로 구성

학부 과목명 담당교수
사회복지학부 사회복지조사론 이종현

안녕하세요. 여러분 즐겁고 즐거운 사회복지조사론 시간입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여태까지 배웠던 것을 한번 복습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태까지 우리가 조사 연구 실험 연구에 대해서 여러 가지 유형에 대해서 배웠죠.

그래서 이제 이런 것들을 한번 우리 한번 쯤 다양한 것들을 많이 배웠으니까 한번쯤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제 연구 설계 이제 총정리 이렇게 살펴볼 수 있고 그래서 오늘의 학습 내용은 연구 설계의 전반적인 과정을 한번 정리해보고 그래서 이런 것들을 한번 정리해 봄에 따라서 연구에 대한 우리가 실질적으로 연구를 할 때 어떻게 연구를 진행 시킬 수 있을지 이런 것들에 대해서 공부 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이제 제일 처음에 연구 문제의 설정이죠.

 

우리는 어떠한 문제를 연구할 것인가 이런 것들에 대해서 고민을 해야 되는데 여러분들이 보시기에는 ‘그건 뭐 그냥 연구할 문제를 설정해서 연구하면 되지 뭐 그게 복잡하고 어려운가!’이렇게 생각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은 여러분들이 나중에 이제 현장에 가시거나 혹은 보고서를 쓰거나 논문을 쓸 때 여러분들이 늘 이제 걱정이 되는게 바로 뭐냐면 과연 제목은 어떻게 정할 것인가? 그리고 그 제목에 따른 이 연구의 주제는 무엇인가?

사실상 이것이 가장 커다란 문제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먼저 이제 연구문제를 정의해야 되는데 이것을 개발로 처음에 할 때는 어떻게 명확하게 진술을 하느냐?

연구문제를 우리는 어떻게 정의하고 그것을 어떻게 명확하게 진술을 하느냐?

예컨대 내가 이번에 하는 연구에 있어서는 그야말로 한국사회에 보편적 복지가 얼마나 적용될 수 있을 것인가?

혹은 선별적 복지가 얼마나 적용될 수 있을 것인가?

한국사회에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는 둘 중에 우리가 어떤 길로 나가야 될 것인가? 사실 이 연구만 하더라도 엄청나게 커다란 주제입니다.

이것은 그야말로 진짜 한편에 논문 가지고 해결될 그런 문제가 아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제 한국 사람들은 이런 것을 얘기할 때 막 자기 말이 맞는다고 얘기 하는데 그래서 우리가 보통 논문으로 쓰거나 연구 문제를 할 때는 보다 이런 것들보다 아주 좁혀서 들어가야 되겠죠.

아니면 명확하게 이렇게 진술해야 되는데 사실상 쉬운 문제들 아니고 그런데 우리가 이제 도대체 이런 연구문제는 어디에서부터 나올 수 있는가?

이런 것들을 생각해 봐야 되는데 연구문제 원천이라는 것은 우리가 기존에 우리가 알았던 지식에서 부터 나올 수도 있고, 또 하나는 실천 현장, 여러분들이 일하시거나 혹은 여러분들이 나중에 일하시게 되는 사회복지 현장에서도 그런 경험에 따라서 이제 나올 수 있겠죠.

예컨대 대한민국 사회에서 ‘내가 보편복지를 하는 것 같은데 그래 봤더니 실천 현장에서 이건 아닌 것 같다.’라든지 혹은 그 반대로 ‘선별적 복지를 실천해 보는데 내가 복지 현장이 있다 보니까 그거보다는 보편적복지가 더 나은 것 같다.’라는 이러한 실천현장에 경험도 그야말로 연구문제를 선정하는 것에 대해서 상당히 중요하죠.

 
>>>>
>>>>